1. 유두절 뜻
매년 음력 6월 15일은 유두절입니다. 유두(流頭)는 동류수두목욕(東流水頭沐浴)의 약자로서 흐르는 물에 머리를 감는다는 뜻입니다.
2. 유두절 유래
유두절은 매년 음력 유월 보름날로, '물맞이'라고도 불리는 한국의 세시풍속 명절입니다. 중복과 말복 사이의 복중(伏中)에 있으며 '유둣날'이라고도 합니다.
유두절에는 물 맑은 계곡이나 산간의 폭포수 아래에서 머리를 감고 몸을 씻고, 마련해 간 음식을 먹고 술을 마시면서 하루를 보내는데, 이렇게 하면 여름에 걸리기 쉬운 질병에 걸리지 않고, 더위를 쫓아 준다고 믿었습니다.
이 세시풍속은 무려 신라시대 때부터 있었던 것으로, 소두(梳頭)·수두(水頭)라고도 표기하였는데, 수두란 물마리(마리는 머리의 옛말)로서 ‘물맞이’라는 뜻이고, 현재도 신라의 옛 땅인 경상도 지방에서는 유두를 ‘물맞이’라고 부른다고 합니다.
3. 유두절 음식
유두절 음식으로는 유두면, 수단, 건단, 연병 등이 있다. 유두면은 밀가루를 반죽해 구슬처럼 만들어 오색으로 물들인 뒤 3개를 색실로 꿰어, 액을 쫓기 위해 허리에 차고 다니거나 대문 위에 걸어두기도 했다고 합니다.
유두절 에는 조상뿐만 아니라 논과 밭에서 용신제(龍神祭) 또는 발제를 지냈는데, 이는 풍농을 위한 농신제로서 유두에 지낸다고 하여 유두제라고도 했습니다. 고사 때에는 제물로 으레 팥시루떡을 하지만, 밭제를 지낼 때에는 밭작물의 수확을 기념하며 특별히 팥죽을 쑤어 먹는 집도 있었다고 합니다.
전북지역에서는 찰떡을 논둑 밑이나 물꼬에 한 덩어리씩 놓고 물이 새지 않고 농사가 잘 되기를 농신(農神)에게 빌었고, 찰떡 대신 밀떡이나 송편을 해서 고사를 지내기도 했습니다.
이 떡들을 논둑에 두거나 혹은 나무에 떡을 꽂았다가 논둑에 두는데, 고사를 마치면 동네 아이들이 떡을 나누어 먹었는데, 이 떡을 유두알이라고 합니다.
경북 지역에서는 농사가 잘되게 해달라고 비는 농신제를 용지(龍祭, 용왕제)라 일컫는데, 용지 때에는 차노치(찹쌀노티)를 굽고 시루떡을 기름에 부치며, 호박전과 같이 전 종류의 음식을 차려 냅니다.
용지의 제물에는 기름이 들어가야 좋다고 믿었는데, 기름냄새가 해충을 쫓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경북 안동 지역에서는 유두날 아침에 국수를 수박 밭고랑에 뿌리고, 수제비는 참외 밭에 뿌리는데, 이는 수박줄기가 국수처럼 쭉쭉 뻗어 나가라는 의미와 참외가 주렁주렁 많이 열리라는 의미를 담고 있다고 합니다.
이렇게 고사를 지낸 뒤 비가 오면 풍년이 든다고 믿었다고 합니다.
'생활정보 관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독립운동가 홍범도 장군 (0) | 2023.08.30 |
---|---|
영어 유치원 교사 되는 방법, 일반 유치원 영어 유치원 차이 (0) | 2023.07.24 |
친환경 농산물 유기농, 무농약, 저농약 구분 및 친환경 농산물 인증 마크 표기 (0) | 2023.07.19 |
서울 지하철 버스 요금 인상 적용 시기 및 요금 인상 이유 (0) | 2023.07.13 |
제헌절 공휴일 폐지, 제헌절 국경일, 태극기 게양법 (0) | 2023.07.12 |
댓글